Heemin Kang lab at Korea University
우리 동적나노바이오공학 연구실은 물질과 세포 사이의 동적 상호작용을 이해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자극(자기장, 빛, 자기조립, 초음파, 압전 등)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독특한 나노바이오공학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설계된 동적 나노바이오공학소재를 기반으로 다양한 바이오의공학 분야(면역공학, 줄기세포공학, 조직재생, 화학요법, 항균/항바이러스 공학 등)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합성, 나노바이오소재, 바이오의공학 분야의 전공을 가진 박사후 연구원, 대학원생, 학부생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나노화학소재 합성", "나노바이오소재", "바이오메디컬공학" 중의 하나의 분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다학제적인 공동 협업으로 연구가 진행됩니다.
대학원생 (석사/박사/통합과정)에게는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가 제공됩니다. 학부 연구생에게도 소정의 생활비가 제공되고, 실험과 논문 출판 등의 모든 기회가 주어집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지도교수님이 실험설계부터 논문 작성 등 모든 과정에 함께하며 연구 및 진로에 대해 밀접하고 친근히 지도합니다. 다양한 장학금 인센티브, 주기적 랩 여행, 국내/해외 학술대회 참가 또한 지원합니다.
2025년 2월부터 박사 졸업생이 배출될 예정이며, 박사 학위 취득 후 진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재료공학, 화학공학, 바이오의공학, 화학 등 관련 학과의 교수직 2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재료연구원(KIMS), 한국화학연구원(KRICT) 등 국내외 국책연구소 3LG화학, LG생활건강, 현대자동차, 삼성디스플레이, 오스템임플란트 등 국내외 기업
연구, 진로 또는 대학원 관련 문의는 강희민 교수님(heeminkang@korea.ac.kr)께 이메일로 이력서와 연구/진로 관심사(학생의 경우 학부 성적표 포함)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연구실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은 민선홍(minsunh@korea.ac.kr) 또는 김성열(seongyeolkim@korea.ac.kr)께 편하게 문의해 주세요.
우리 연구실은 상시 학부 연구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학부 연구생 프로그램을 통해 매 학기 1월과 7월에 정기적으로 학부 연구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에서 신소재공학부 홈페이지의 커뮤니티 게시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입학 자격 요건에 결격 사유가 없는 경우, 우리 연구 분야에 열정을 가진 학생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
1최고 수준의 등록금 및 생활비 전액 지원 2다양한 장학금 인센티브 지원 3국내외 학회 참가 및 매 학기 연구실 국내외 출장 전액 지원 4자유로운 출퇴근 시간 5주말/공휴일 외에 연 최소 15일의 휴가 제공 6국내외 최고 수준의 연구 그룹 및 병원과의 공동 연구 기회 제공